본문 바로가기
민속학

고대의 무속

by 하이델베르그 2024. 5. 3.

고대 무속 관련 사진

 

서문 

 

고대의 무속은 그 독특한 신앙체계와 의식들로 인해 많은 이들의 호기심을 자아낸다. 여기서는 그 뿌리인 고대 무속의 특징과 그것의 전승 형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1. 고대의 무교의 특징

고대의 무교란 중국으로부터 유교·불교·도교를 받아들이기 이전의 신앙 형태를 말한다. 이는 3세기에 만들어진 ≪삼국지≫ 중 위지 동이전에 나오는 제천의례에 대한 내용들과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주몽·혁거세 등의 시조신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두 자료에 나타난 고대 한국인의 신앙의 내용에서 아래의 세 가지 특징 발견할 수 있다.

 

1) 천신강림과 산신신앙

시조신화는 천신강림의 이야기로 시작하는데 이는 절대적인 존재가 이 세상으로 내려오신다는 뜻이다. 산이나 숲에 하느님의 아들이나 하늘의 빛의 내려왔다고 한다. 단군신화에는 농사 전후나 전쟁이 있을 때 하느님께 제사를 지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느님이 곡식·생명·질병·선악 등 인간을 둘러싼 모든 것을 결정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대인들에게도 하느님은 역시 손에 잡히지 않는 존재였다. 그러다 보니 그들의 염원을 담아 산신에 제사를 지내는 산신신앙의 풍습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는 하느님의 아들은 산에 강림해 산에 은거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해서 우리의 산신신앙은 산악신앙이나 애니미즘(animism)이 아닌 하느님 신앙의 연장이다. 해서 산신은 한국무속의 대표적인 위치를 갖게 되었다.

 

2) 인간의 승화와 곡신신앙(穀神信仰)

종교의 형성은 완벽한 절대자와 불완전한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시작된다. 고대인들은 완벽한 절대자와 불완전한 인간 사이의 질적인 차이를 극복하기를 염원했다. 고대인들은 이러한 차이를 자신을 채찍질하고 승화시킴으로써 거룩한 신령과 만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당시 고대 한인들은 이러한 승화의 원리를 자신의 주변에서 찾게 되었다는데 농경생활 속 곡식의 씨앗에서 이를 발견했다. 이는 땅 속에서 사라졌다가 다시 새 생명으로 살아난다는 곡신신앙을 낳게 되었다. 알영(閼英)은 온전한 여인으로 되기 위해 냇물 세례를 받았고 곰은 빛 없는 굴 속에서의 인고의 시간을 통해 인간이 되었다. 고대인들은 또한 이러한 자기 부정과 승화의 염원을 담아 노래와 춤으로써 천제를 드렸다. 연일 밤낮으로 계속되는 음주가무를 통해 속된 자신을 벗어나 입신(脫我入神)의 경지로 들어갈 수 있었다. 이러한 황홀한 절정감은 그들을 승화시키고 거룩한 신령들과의 만남으로 이어지게 했다.

 

3) 신인융합과 제천의식

하느님과 인간이 하나로 융합한다는 신인융합은 한국의 신화와 의례의 핵심이다. 하느님이 인간과 결합하기 위해 먼저 신이 하늘에서 내려오고 인간이 승화되기 위해 인고의 시간을 거쳐 탈바꿈의 과정을 밟게 된다. 신화 속에서 이것을 신과 인간의 결합, 즉 혼인으로 이야기하고 있고 이것의 실현으로 음주가무로써 제례를 지냈다. 고대인은 자연과 인간의 지배자인 신령과의 직접적인 융합을 통해서 소원 성취를 이루고 인생사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한 신과 인간이 하나가 되는 신비로움을 고대인들은 음주가무의 황홀경 속에서 체험하였다. 고대인들은 이와 같은 신화적 창조작업의 순환을 위해 주기적으로 제천의식을 지내게 되었다. 그들은 농사 전후, 그리고 전쟁 시 등 안정을 기원할 때는 음주 가무에 의한 제천의식을 치렀다. 고대의 신앙양식에서 무교와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곧 노래와 춤에 의한 제례로써 신령을 직접 만나고 이를 통하여 소원을 빌고 인생문제를 해결하려는 주술적 성격을 띤 것이 고대인의 신앙세계였다.

 

2. 고대 무교의 전승

경로 5세기경부터 고대 무교는 중국에서 전해온 유교·불교·도교 등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로써 무교는 위의 3교를 매개로 전승, 전개되어 갔다. 무교의 전승 또는 전개 경로는 아래의 세 유형이 있었다.

 

1) 단순전승

단순전승은 외래종교문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옛 무교의 모습이 그대로 전승되어 간 형태이다. 물론, 문화적으로 우세한 다른 종교의 영향권 아래에서 그 종교의 용어나 개념 등의 다소간 유입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그 예로 9세기경 신라 말의 불안기에 개인의 안정과 평안을 목적으로 한 굿이 종래의 집단적인 굿과는 다른 양상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그 잔재가 오늘의 민간신앙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무속이다. 하지만 고대의 무교 원형을 그대로 전승해 간 것이 대부분이다.

 

2) 종교습합적인 전승

종교습합적인 전승은 무교와 외래종교가 습합을 통하여 전승되어 간 형태이다. 하지만 이 양상을 보면 외형적으로는 다른 종교의 형태를 취하면서도 실제적인 내용면에서는 무교를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불교가 지배하던 신라나 고려시대의 팔관회(八關會)와 연등회(燃燈會)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이는 불교 전통에 의하여 금욕적인 재회와 등공양을 하는 법회로 외형적으로 볼 때는 불교의 법회에 속하는 행사들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의 팔관회와 연등회는 주연을 베푸는 축제의 형식으로 발현되었는데 이는 예로부터 내려오던 무교적인 제천의식의 형태를 띤 것이었다. 이 예로 사찰에 있는 산신·칠성·독성의 삼신신앙(三神信仰)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로써 기성종교의 밑바탕에 무교가 깔린 채 전승되어 오고 있는 현상을 볼 수 있다.

 

3) 승화적 전개

승화적 전개란 외래 고등종교(유·불·선 3교)와 융합하여 무교 자체가 승화된 가운데 새로운 종교사상운동으로 발전해 나간 형태이다. 이것은 신라시대의 화랑도나 조선시대 말의 동학운동과 같은 형태로 나타났다. 6세기의 화랑도에서는 문화적 풍류로 노래와 춤을, 생존적 가치로써 풍류와 평강을 생각했다. 초생존적 가치로 도의(道義)를 두고 포함삼교(包含三敎)하는 문화적 신이 그간 지배하던 신을 각각 승화시켰다. 이처럼 음주가무를 통한 엑시타시 속 신령과의 만남을 통해 생사길흉을 해결하려던 무교는 유·불·선 3교를 통해 보다 높은 문화적 차원으로 이어져 갔다. 동학 또한 이와 맥을 같이 한다. 신인융합에서 인생문제를 해결하려던 옛 신앙과는 달리 천주를 우리 속에 모심으로써 신과 인간이 하나가 되어 제세구민(濟世救民을 목적으로 하는 종교적 움직임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상은 오늘에도 간혹 우리나라의 신종교운동들 가운데서 가끔씩 찾아볼 수 있다.

 

마치며

 

고대 무속신앙은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깊이 이해하는 데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소중한 유산을 존중, 보존함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정체성을 더욱 단단히 유지할 수 있다.

 

'민속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시대의 민간신앙  (0) 2024.05.03
고대의 민간신앙  (0) 2024.05.03
설화  (0) 2024.05.03
민화  (0) 2024.05.03
고려시대의 무속  (0) 2024.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