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

민속춤 서문민속춤은 원시적인 생활무용에서 시작하여 종교적인 춤과 민중들이 추던 춤에 이르기까지 발전해 왔다. 그들의 생활로부터 전통과 표현이 살아 숨 쉬는 한국의 민속춤에 대해 알아보자. 1. 민속춤의 역사민속춤의 역사를 살펴보면 원시적 생활무용이 다였던 삼국시대 이전 춤에서 예인집단(藝人集團)이 춤을 추던 고려시대로 이어진다. 이후 조선시대 중엽 민중문화 발달로 인해 춤이 오락적이고 예술적인 형태로 변하기 된다. ≪오경통의 五經通義≫에 “동이지악 지모무 조시생야(東夷之樂持矛舞助時生也)”이라는 부분이 있다. 이는 우리나라 춤에 대한 최초의 기록으로 볼 수 있다. 이 기록에는 병기창(兵器槍)이 등장하는데 이는 그 시대의 신속(神俗)으로 보아 생업인 농경과도 관련이 있고 전투에서의 승리를 기원하는 무속의식이 반영된.. 2024. 5. 3.
무속의 사고체계 서문우리나라의 무속은 그 독특한 사고체계와 의식들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우리의 문화와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여기서 우리나라 무속신앙의 다양한 사고체계에 대해 알아보자.  무속에서의 신관신병이 내려 무당으로서의 길을 받아들이게 되는 신의 체험은 무당에게 새로운 신관·우주관·영혼관·내세관을 갖게 한다. 무속에서의 신관은 자연에 깃든 모든 신성을 믿는 다신적 신관(自然神觀)이며, 신의 실재 속에서 신이 모든 만물의 생사 길흉을 주관한다고 믿는다. 무속에서 믿는 신은 자연신계통과 인신(人神) 계통으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전국적으로 조사, 확인된 무신은 273종이다. 자연신계통의 무신은 하늘과 해, 달, 땅, 산, 길, 물, 불, 바람, 나무, 돌, 동물과 같은 자연물에 깃든 신들과 .. 2024. 5. 3.
전통놀이 – 남자들의 놀이와 마을 전체의 놀이 서문당시 농경사회에서는 세시풍속에 따라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움직여 참여하는 전통놀이가 성행하였다. 여기서는 스케일 면에서도 웅장했던 남자들의 놀이와 마을전체의 놀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1. 남자들의 놀이고싸움 · 동채싸움 · 나무쇠싸움 · 농기싸움 · 편싸움 · 횃불싸움 등 남자들의 놀이는 명칭에서부터 격렬하게 승패를 겨루는 놀이가 대부분이었다. 규모도 거대한 싸움 형식을 보이면서 그 방식도 한층 투쟁적이다. 1) 남자들의 놀잇감남자들의 놀이는 놀잇감부터 스케일이 크고 복잡하다. 아이들의 놀이에서는 생각하기 어려운 동채 · 고 · 나무쇠 등 스케일이 큰 놀잇감인 데다 각종 풍물과 깃발 등도 함께 한다. 집단 패놀이 형식이 많은데 풍물을 사서 보존하고 동채(차전놀이 도구)와 같이 스케일이 큰 놀잇.. 2024. 5. 3.
고려시대의 민간신앙 서문 고려시대의 민간 신앙과 신화는 그 시대의 종교적 배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려는 유교가 국교로 제정되었지만, 불교와 민간신앙이 여전히 널리 퍼져 있었다. 특히 민간 신앙은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람들의 신앙심과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1. 생활로 파고든 민간신앙고려시대는 민간신앙이 개인의 생활로까지 밀접하게 파고들었다. 병이 생기면 약물치료보다는 귀신에 의존했으며, 나아가 크게는 국가의 행사에 이르기까지 무격(巫覡)에 의지하려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기우제 · 기은제(祈恩祭)는 물론 병을 치료하고 재앙을 물리치는 일에서부터 산신과 서낭에게 비는 의식에까지 무격이 침투하였다. 이러다 보니 때로는 무속에 의한 피해가 크다고 판단하여 이를 금하기도 하였다. 2. 불교와 혼합된 민간신앙민간.. 2024. 5. 3.